📑 목차

🏞️ 데키가이소 공원

Tekigaiso Park
荻外荘公園 (てきがいそうこうえん)

고노에 후미마로 전 총리의 저택 부지를 정비한 역사 공원

역사/문화역사적 장소📍 도쿄도 스기나미구

📋 기본 정보

기본 정보
📍 명칭데키가이소 공원 Tekigaiso Park 荻外荘公園 (てきがいそうこうえん)
🏛️ 유형역사/문화 > 공원, 역사적 장소
🗓️ 지정/건립/개장1927년 (저택 건축) 2015년 (공원 개장) 2016년 (국가 사적 지정) 2024년 12월 9일 (저택 복원 후 일반 공개)
🔗 웹사이트https://ogikubo3gardens.jp/tekigaiso/
🗺️ 소재지일본 도쿄도 스기나미구 오기쿠보 2초메 43-36
이용 정보
⏰ 운영 시간오전 9시 ~ 오후 5시 (수요일, 연말연시 휴원)
💰 이용 요금공원: 무료 데키가이소 저택 관람: 성인 300엔 (2024년 12월 기준)
⏳ 추천 소요 시간약 1시간 ~ 2시간
📞 문의
방문 정보
☀️ 최적 방문 시기가을 (단풍), 잔디 광장 개방 시기 (여름, 초가을)
🚗 주차 정보주차장 없음 (대중교통 이용 권장)
🚇 대중교통JR 주오선·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오기쿠보역에서 도보 15분 오기쿠보역 남구에서 간토 버스(萩51) '특양홈 오기쿠보 시온' 하차 도보 5분 오기쿠보역 서구에서 그린슬로모빌리티 '데키가이소 공원' 하차 도보 1분
♿ 접근성 정보휠체어 접근: 공원 일부 가능, 저택 내부는 확인 필요 경사로/엘리베이터: 정보 없음 장애인 화장실: O (휠체어 대응) 장애인 주차 구역: X 기타 참고사항: 공원 내부는 비교적 평탄함

자주 묻는 질문

입장료는 얼마인가요?
공원: 무료 데키가이소 저택 관람: 성인 300엔 (2024년 12월 기준)
운영 시간은 언제인가요?
오전 9시 ~ 오후 5시 (수요일, 연말연시 휴원)
어떻게 가나요?
JR 주오선·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오기쿠보역에서 도보 15분 오기쿠보역 남구에서 간토 버스(萩51) '특양홈 오기쿠보 시온' 하차 도보 5분 오기쿠보역 서구에서 그린슬로모빌리티 '데키가이소 공원' 하차 도보 1분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東京都杉並区荻窪2丁目43番36号
공식 웹사이트가 있나요?
네, 공식 웹사이트는 https://ogikubo3gardens.jp/tekigaiso/ 입니다.

개요

역사적 건축물과 일본 근대사에 관심 있는 탐방객, 조용한 공원에서 휴식을 원하는 지역 주민과 가족들이 주로 찾는다.

복원된 고노에 후미마로 전 총리 저택 '데키가이소' 내부를 관람하며 당시 생활상과 역사를 배우고, 넓은 잔디 광장에서 산책이나 아이들의 뛰어노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잔디 보호를 위해 특정 기간 동안 잔디 광장 출입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으며, 공원 내에는 별도의 놀이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입장료
300
소요 시간
1.5

접근 방법

🚃 전철 이용 시

  • JR 주오선(中央線)·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丸ノ内線) 오기쿠보역(荻窪駅)에서 하차 후 도보 약 15분.

🚌 버스 이용 시

  • 오기쿠보역 남구(南口)에서 간토 버스(関東バス) 萩51 계통 샤레르 오기쿠보(シャレール荻窪)행 탑승 후 '특양홈 오기쿠보 시온(特養ホームおぎくぼ紫苑)' 정류장에서 하차, 도보 약 5분.

🚐 그린슬로모빌리티 이용 시

  • 오기쿠보역 서구(西口)에서 탑승 후 '데키가이소 공원(荻外荘公園)' 정류장에서 하차, 도보 약 1분.

차량으로 접근 시 주차 공간이 없으므로 대중교통 이용이 권장된다.

주요 특징

데키가이소 저택 관람

고노에 후미마로 전 총리가 거주하며 중요한 국책을 결정했던 역사적 건물 내부를 둘러볼 수 있다. 쇼와 시대 초기의 건축 양식과 당시의 정치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 2024년 12월 9일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 성인 300엔

잔디 광장에서의 휴식

과거 저택의 연못 부지를 정비하여 조성된 넓은 잔디밭에서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거나 방문객들이 여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피크닉이나 독서를 즐기기에도 적합하다.
💡 잔디 보호를 위해 특정 기간(주로 늦가을~초여름) 동안 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

💰 무료

역사적 의미 탐방

일중전쟁 초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 전야까지 일본의 중요한 국책이 결정된 장소이자, '오기쿠보 회담'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다. 고노에 후미마로가 생을 마감한 서재도 복원되어 있다.
💡 스기나미 구립 향토 박물관에서 관련 특별전이 개최된 바 있다.

추천 포토 스팟

데키가이소 공원에서 사진 촬영하기 좋은 곳들입니다.

📸 복원된 데키가이소 저택 정면

쇼와 시대의 건축미를 간직한 저택의 전체적인 모습을 담을 수 있다.

📸 잔디 광장에서 바라본 데키가이소

넓은 잔디와 함께 저택의 고즈넉한 풍경을 촬영할 수 있다.

📸 데키가이소 디자인 맨홀 뚜껑

공원 주변 도로 또는 내부에 설치된 데키가이소 고유 디자인의 맨홀을 찾아 사진으로 남길 수 있다.

방문 팁

입장 시 접수처에서 데키가이소 관련 맨홀 카드를 받을 수 있다.
잔디 광장은 잔디 보호를 위해 늦가을부터 초여름까지 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
공원 내에는 놀이 기구가 없으므로, 주로 넓은 잔디밭이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된다.
인근에 오타구로 공원, 가도카와 정원 등 함께 둘러볼 만한 역사 문화 공간들이 있다.
데키가이소 저택 내부는 2024년 12월부터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입장료는 300엔이다.

역사적 배경

1927년
'후테키오쓰쇼(楓荻凹處)' 건축
건축가 이토 주타가 설계하여 대정천황 시의두(侍医頭)였던 이리사와 다쓰키치의 저택으로 건립되었다.
1937년
고노에 후미마로 구입 및 '데키가이소(荻外荘)' 명명
고노에 후미마로가 저택을 구입하였고, 이후 사이온지 긴모치에 의해 '데키가이소'로 명명되었다.
1937년~1941년
주요 정치 무대
제1차 고노에 내각 발족 후, '오기쿠보 회담' 등 일중전쟁 초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중요한 국책이 논의되고 결정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1945년 12월 16일
고노에 후미마로 자결
일본의 항복 후, 고노에 후미마로가 데키가이소의 서재에서 자결하였다.
1960년
건물 일부 이전
오기쿠보 회담이 열렸던 응접실을 포함한 건물 일부(약 202㎡)가 도쿄도 도시마구 스가모의 천리교 도쿄교무지청 부지로 이전되었다.
2014년
스기나미구 매입
스기나미구가 데키가이소 부지(6071.69㎡)와 남아있던 저택(409㎡)을 매입하였다.
2015년 3월 14일
데키가이소 공원 개원
부지 일부가 데키가이소 공원으로 정비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2016년 3월 1일
국가 사적 지정
'데키가이소(고노에 후미마로 옛집)' 명칭으로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018년~2024년
저택 복원 공사
스가모로 이전되었던 건물 부분을 원래 위치로 재이전하고, 1940년~1941년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2024년 12월 9일
복원된 데키가이소 일반 공개
복원 공사를 마친 데키가이소 저택이 일반 관람객에게 공개되기 시작했다.

여담

데키가이소라는 이름은 정치가이자 문인이었던 사이온지 긴모치가 지어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노에 후미마로는 이 저택을 매우 마음에 들어 하여, 메이지로의 본가로 돌아가지 않고 이곳에서 계속 생활했다고 전해진다.

중요한 정치 회담이 자주 열려, 당시 언론에서는 데키가이소를 '제2의 관저'와 같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고노에 후미마로 사후, 요시다 시게루 전 총리가 한때 이곳을 사저 대신 사용한 적이 있다는 일화가 있다.

우익 단체 '혈맹단'의 창설자였던 이노우에 닛쇼가 고노에의 브레인으로 활동하며 한때 이곳에 동거했다는 사실도 기록되어 있다.

공원 중앙에는 과거 사용되었던 손펌프식 우물이 남아있으며, 공원 바닥의 맨홀 뚜껑 중에는 데키가이소를 형상화한 디자인이 있다는 방문객들의 이야기가 있다.

대중매체에서

데키가이소 공원(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데키가이소 공원(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역사/문화 더 둘러보기

역사/문화 전체 보기 →
📍 주소: 東京都杉並区荻窪2丁目43番36号
⚠️ 이 문서는 자동으로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최신 정보가 아닐 수 있습니다. 방문 전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traveler.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