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국립 한센병 자료관 (코쿠리츠 한센-비요 시료칸)
일본 한센병의 역사와 인권 문제를 조명하는 교육의 장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
|---|---|
| 📍 명칭 | 국립 한센병 자료관 (코쿠리츠 한센-비요 시료칸) National Hansen's Disease Museum 国立ハンセン病資料館 |
| 🏛️ 유형 | 역사/문화 > 박물관 |
| 🗓️ 지정/건립/개장 | 1993년 6월 (전신 '다카마쓰노미야 기념 한센병 자료관' 개관) 2007년 3월 (현재의 '국립 한센병 자료관'으로 재개관) |
| 🔗 웹사이트 | https://www.nhdm.jp/en/ |
| 🗺️ 소재지 | 4-1-13 Aoba-cho, Higashimurayama-shi, Tokyo 189-0002, Japan |
| 이용 정보 | |
| ⏰ 운영 시간 | 09:30 ~ 16:30 (입장 마감 16:00) 휴관일: 월요일, 연말연시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다음 평일 휴관) |
| 💰 이용 요금 | 무료 |
| ⏳ 추천 소요 시간 | 약 2~3시간 |
| 📞 문의 | +81423962909 |
| 방문 정보 | |
| ☀️ 최적 방문 시기 | 연중 (특별 전시 기간 확인 권장) |
| 🚗 주차 정보 | 무료 주차장 이용 가능 (약 10대 수용 가능,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2대 포함) |
| 🚇 대중교통 |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기요세역 또는 JR 무사시노선 신아키츠역에서 버스로 약 10분 소요, '젠쇼엔마에(全生園前)' 또는 '한센병자료관(ハンセン病資料館)' 정류장 하차 |
| ♿ 접근성 정보 | 휠체어 접근: 가능 경사로/엘리베이터: O 장애인 화장실: O (워슈렛 설치) 장애인 주차 구역: O 기타 참고사항: 관내 휠체어 대여 가능 여부는 사전 문의 필요. 전시물 설명은 주로 시각 자료와 텍스트로 구성됨. |
❓자주 묻는 질문
입장료는 얼마인가요?
운영 시간은 언제인가요?
어떻게 가나요?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공식 웹사이트가 있나요?
개요
일본 내 한센병의 역사, 과거 정부의 강제 격리 정책, 그리고 환자들이 겪었던 사회적 차별과 인권 침해의 실상을 배우고 이해하고자 하는 역사 및 사회 문제에 관심 있는 탐방객들과 학생들이 주로 찾는다. 이곳은 한센병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인간 존엄성의 회복과 편견 없는 사회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방문객들은 방대한 자료와 사진, 영상 증언, 실제 사용되었던 물품과 복원된 시설 등을 통해 과거 환자들의 고통스러운 삶과 투쟁의 역사를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요양소 내에서 이루어졌던 문화 예술 활동과 관련된 작품들을 감상하며 그들의 인간적인 면모와 삶에 대한 의지를 느낄 수 있다.
일부 관람객은 전시 관람 동선이 다소 복잡하다고 느끼며, 대부분의 전시물은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어 기록을 남기기 어렵다는 아쉬움이 제기된다.
접근 방법
🚌 버스 이용
-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기요세역(清瀬駅) 남쪽 출구에서 세이부 버스 (기요61 계통) 탑승 후 '젠쇼엔마에(全生園前)' 또는 '한센병자료관(ハンセン病資料館)' 정류장 하차 (약 10분 소요).
- JR 무사시노선 신아키츠역(新秋津駅)에서 세이부 버스 (도코로자와역 동쪽 출구행 또는 구메가와역 북쪽 출구행) 탑승 후 '젠쇼엔마에(全生園前)' 또는 '한센병자료관(ハンセン病資料館)' 정류장 하차 (약 10분 소요).
버스 배차 간격이 길 수 있으므로 사전에 시간표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자가용 이용
- 자료관 내 무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으나, 주차 공간이 협소할 수 있다 (약 10대).
주요 특징
중감방(重監房) 복원 전시
💰 무료 (관람료 포함)
요양소 생활과 문화 예술 활동 전시
💰 무료 (관람료 포함)
한센병 역사와 차별의 기록
💰 무료 (관람료 포함)
추천 포토 스팟
국립 한센병 자료관은 전시 내용의 특수성과 저작권 및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대부분의 공간에서 사진 촬영이 제한됩니다. 일부 'SNS 촬영 가능' 표시가 있는 전시물에 한해서만 촬영이 허용될 수 있으니 현장 안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축제 및 이벤트
국립 한센병 자료관에서는 상설 전시 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특별 기획전이 비정기적으로 개최됩니다. 방문 전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립 한센병 자료관에서는 상설 전시 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특별 기획전이 비정기적으로 개최됩니다. 방문 전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문 팁
역사적 배경
여담
자료관의 전신은 '다카마쓰노미야 기념 한센병 자료관'으로, 1993년에 개관하여 2007년 현재의 국립한센병자료관으로 새롭게 단장되었다는 얘기가 있다.
이곳은 일본의 주요 한센병 요양소 중 하나인 국립요양소 다마젠쇼엔(多磨全生園) 부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료관 관람 후 요양소 일부 구역을 산책하며 과거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언급이 있다.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가 영화 '모노노케 히메' 제작 당시 이곳의 분위기나 환자들의 삶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이름을 빼앗기고 시설에 갇히는 설정 또한 한센병 요양소의 역사와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자료관 주변 및 다마젠쇼엔 내에는 과거 환자들이 심은 벚나무들이 많아 '희망의 벚나무'로 불리기도 하며, 봄이 되면 아름다운 벚꽃 풍경을 자아낸다는 언급이 있다.
대중매체에서
국립 한센병 자료관 또는 그 배경이 된 한센병 요양소의 이야기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앙: 단팥 인생 이야기 (あん)
주인공 중 한 명이 과거 한센병을 앓았다는 설정으로, 영화의 배경과 정서에 한센병 환자들이 겪었던 사회적 편견과 삶의 애환이 깊게 깔려 있다. 자료관 방문 후 영화를 보면 더욱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다는 평이 있다.
모노노케 히메 (もののけ姫)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작품 제작 과정에서 한센병 요양소(다마젠쇼엔 등)를 방문하고 환자들의 삶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알려져 있다. 작품 속 '타타라바' 마을 사람들 중 일부가 한센병 환자를 모티브로 했다는 해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