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대덕원 료고쿠릉원(다이토쿠인 료고쿠료엔)
도쿄 스미다구 료고쿠에 위치한 현대식 실내 묘원을 갖춘 고야산 진언종 사찰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대덕원 료고쿠릉원(다이토쿠인 료고쿠료엔) 大徳院 両国陵苑 |
| 🏛️ 유형 | 역사/문화 > 종교시설(사찰/절) |
| 🗓️ 지정/건립/개장 | 1594년 (와카야마현 고야산 첫 개창) 1684년 (현재 료고쿠 위치로 이전) |
| 🔗 웹사이트 | https://ryobo.com |
| 🗺️ 소재지 | 2 Chome-7-13 Ryogoku, Sumida City, Tokyo 130-0026 일본 |
| 이용 정보 | |
| ⏰ 운영 시간 | 일반적으로 17:00까지 운영 (코로나19 이후 단축 및 변동 가능성 있음, 방문 전 웹사이트 또는 전화 확인 권장) |
| 💰 이용 요금 | 참배 카드 대여료: 300엔 (묘역 이용 시) |
| ⏳ 추천 소요 시간 | 약 30분 ~ 1시간 |
| 📞 문의 | +81362402272 |
| 방문 정보 | |
| ☀️ 최적 방문 시기 | 연중 (실내 시설) |
| 🚗 주차 정보 | 자체 주차장 보유 (약 10대 수용 가능, 협소하여 주말 등 혼잡 시 이용 어려울 수 있음). 인근 유료 주차장 이용 고려. |
| 🚇 대중교통 | JR 소부선 료고쿠역 서쪽 출구에서 도보 약 3분, 또는 도에이 오에도선 료고쿠역에서 도보 약 10분. 에코인(回向院) 뒷편에 위치. |
| ♿ 접근성 정보 | 휠체어 접근: 일부 가능 (현대식 건물, 엘리베이터 운영) 경사로/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O 장애인 화장실: 정보 없음 장애인 주차 구역: 정보 없음 기타 참고사항: 실내 시설로 냉난방이 완비되어 있으며,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방문 가능. 다만, 참배 공간 내 좌석이 부족하다는 언급이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입장료는 얼마인가요?
운영 시간은 언제인가요?
어떻게 가나요?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공식 웹사이트가 있나요?
개요
조용한 실내에서 고인을 추모하거나 특정 종교적 목적으로 참배를 원하는 가족 단위 방문객 및 개인 순례자들이 주로 찾는다. 특히 현대적인 시설에서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참배하기를 원하는 이들에게 적합하다.
방문객들은 카드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묘가 나오는 현대적인 묘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5층에 마련된 본당에서 본존인 약사여래에게 기도를 드리거나 사찰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볼 수 있다. 어부내팔십팔개소 영장의 하나로, 순례 목적으로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 방문객은 직원의 응대나 운영 시간의 잦은 변경 및 단축에 아쉬움을 표하는 경우가 있으며, 어부내팔십팔개소 영장 순례자를 위한 고슈인(어주인) 수령이 원활하지 않거나 현재는 중단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있다.
접근 방법
🚇 지하철 및 JR 이용
- JR 소부선 료고쿠역 서쪽 출구에서 도보 약 3분 소요된다.
- 도에이 오에도선 료고쿠역 A1 출구에서 도보 약 1분 거리에 위치한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에코인(回向院)의 뒷편에 자리하고 있다.
🚗 자가용 이용
- 사찰 내에 약 10대 정도 주차 가능한 공간이 있으나 협소하다.
- 주말이나 방문객이 많은 날에는 주차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인근 유료 주차장 이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주요 특징
현대식 자동화 실내 묘역 '료고쿠릉원'
💰 참배 카드 대여료 300엔
본존 '혼조 히토츠메노 토라야쿠시' (약사여래)
어부내팔십팔개소 영장 제50번 찰소
💰 고슈인 비용 별도 (수령 가능 시)
추천 포토 스팟
대덕원 료고쿠릉원에서 사진 촬영하기 좋은 곳들입니다.
축제 및 이벤트
대덕원 료고쿠릉원에서 열리는 주요 축제나 이벤트 정보입니다.
대덕원 료고쿠릉원에서 열리는 주요 축제나 이벤트 정보입니다.
방문 팁
역사적 배경
여담
사찰의 이름 '대덕원(大徳院)'은 고야산을 창건한 고보대사(弘法大師)의 '대(大)'자와 도쿠가와 가문(徳川家)의 '덕(徳)'자를 따서 지어졌다고 전해진다.
과거에는 도쿠가와 가문의 위패를 모시는 위패소이자 기원소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존으로 모시는 약사여래는 '혼조 히토츠메노 토라야쿠시(本所一ッ目の寅薬師)'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특히 안과 질환 치유에 영험이 있다고 하여 에도 시대부터 많은 사람들의 신앙을 받았다.
에도 시대에는 고야산 금강봉사의 여러 말사들을 총괄하는 중요한 사찰이었다고 한다.
현대적인 빌딩 외관 때문에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은 사찰보다는 사무실 건물로 오해할 수 있지만, 건물 입구에 사찰 이름이 명기되어 있어 확인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부 자료에서 언급되는 '다이토쿠인(Taitoku-in)' 또는 '대덕원(大徳院)' 중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묘소와 관련된 곳은 시바 공원의 조조지 내에 있었던 것으로, 현재의 료고쿠릉원과는 별개의 사찰로 보인다.
대중매체에서
대덕원 료고쿠릉원(다이토쿠인 료고쿠료엔)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대덕원 료고쿠릉원(다이토쿠인 료고쿠료엔)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