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상복사 (조후쿠지)
카리야도 대불 (刈宿の大仏)
🖼️ 이미지 갤러리
/banner_1748612986295.jpg)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상복사 (조후쿠지) Buddha Statue of Kariyado 常福寺 |
| 🏛️ 유형 | 역사/문화 > 종교시설 (사찰/절) |
| 🗓️ 지정/건립/개장 | 사찰 창건: 995~999년 (조토쿠 시대) 현재 대불 건립: 1928년 |
| 🔗 웹사이트 | |
| 🗺️ 소재지 | Jofukuji, Deguchi-50 Kariyadocho, Nishio, Aichi 444-0321 일본 |
| 이용 정보 | |
| ⏰ 운영 시간 | 정보 없음 (일반적으로 주간에 개방될 것으로 예상) |
| 💰 이용 요금 | 무료 (어사인 등은 별도 비용 발생 가능성 있음) |
| ⏳ 추천 소요 시간 | 약 30분 ~ 1시간 |
| 📞 문의 | +81563597549 |
| 방문 정보 | |
| ☀️ 최적 방문 시기 | 연중무휴, 맑은 날 |
| 🚗 주차 정보 | 사찰 앞 도로변 무료 주차 공간 이용 가능 |
| 🚇 대중교통 | 국도 247호선 이용 시 도로변에서 대불 관찰 가능. 대중교통 접근에 대한 상세 정보는 부족하나, 차량 접근이 용이함. |
| ♿ 접근성 정보 | 휠체어 접근: 경내 일부 가능할 수 있으나, 대불 내부는 계단으로만 접근 가능 경사로/엘리베이터: 정보 없음 (대불 내부 접근 불가) 장애인 화장실: 정보 없음 장애인 주차 구역: 정보 없음 기타 참고사항: 대불 내부는 계단이 매우 가파르고 좁으며 난간이 없어 거동이 불편한 경우 관람이 어려울 수 있음. 유모차 접근도 대불 내부는 불가능. |
❓자주 묻는 질문
입장료는 얼마인가요?
운영 시간은 언제인가요?
어떻게 가나요?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개요
아이치현 니시오시에 위치한 거대한 불상을 가까이에서 보고 그 내부에 직접 들어가보는 독특한 경험을 원하는 불교 문화 애호가나 이색적인 조형물에 관심 있는 개인 여행객, 또는 해상 안전과 같은 특별한 기원을 목적으로 하는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이곳에서는 높이 14미터에 달하는 대불의 내부로 들어가 아미타여래상을 참배할 수 있으며, 잘 관리된 경내를 거닐며 평온함을 느껴볼 수도 있다. 또한, 국도를 지나면서도 눈에 띄는 대불의 모습은 그 자체로 인상적인 볼거리를 제공한다.
다만, 사찰 관계자가 부재중일 경우 방문 기념 어사인(御朱印)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 언급되기도 한다.
접근 방법
🚗 자가용 이용
- 국도 247호선을 따라 이동하면 도로변에서 대불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사찰 앞 도로변에 무료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편리하다.
주요 특징
카리야도 대불 (刈宿の大仏)
💰 무료
대불 태내 관람 (胎内巡り)
💰 무료
정돈된 사찰 경내
💰 무료
추천 포토 스팟
상복사에서 사진 촬영하기 좋은 곳들입니다.
📸 대불 정면 전경
압도적인 크기의 황금색 대불 전체 모습을 담을 수 있는 지점이다.
📸 대불 후면 모습
정면과는 또 다른 느낌의 대불 뒷모습과 함께 사찰의 분위기를 담을 수 있다.
📸 국도변에서 바라본 대불
차를 타고 지나가면서도 보이는 대불의 상반신을 촬영할 수 있는 독특한 구도이다.
축제 및 이벤트
상복사에서 열리는 주요 축제나 이벤트 정보입니다.
상복사에서 열리는 주요 축제나 이벤트 정보입니다.
방문 팁
역사적 배경
여담
현지에서는 ‘카리야도노오오보토케(刈宿の大仏)’ 또는 ‘카리야도 대불님(刈宿の大仏さん)’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주민들에게 친숙한 존재라고 한다.
이 대불은 해상 조난자들의 명복을 빌고 어부들의 안전을 기원하며 바다 방향으로 향하도록 세워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아이치현 도카이시에 있는 슈라쿠엔(聚楽園) 대불을 만든 작가와 동일 인물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어, 두 대불을 형제 관계로 보기도 한다.
원래 대불은 적갈색이었으나, 최근 보수 공사를 통해 금색으로 새로 칠해졌다는 언급이 있다. 일부 방문객들은 이전 색상을 그리워하기도 한다고.
대불 내부에는 아미타여래상이 모셔져 있으며, 행복, 건강, 좋은 인연에 대한 기원이 이루어진다고 하여 지역 주민들의 발길이 이어진다는 얘기가 있다.
대중매체에서
상복사(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상복사(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