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백제왕 신사 (구다라오 진자)
고대 백제 왕족의 숨결을 간직한 히라카타의 역사적인 신사
🖼️ 이미지 갤러리
/banner_1747250798450.jpg)
/feature_2_1747283172252.jpg)
/feature_2_1747283241303.jpg)
/photospot_0_1747283300548.jpg)
/feature_0_1747289115245.jpg)
/feature_1_1747289122275.jpg)
/feature_2_1747289128729.jpg)
/photospot_0_1747289137352.jpg)
/photospot_1_1747289144985.jpg)
/photospot_2_1747289150672.jpg)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백제왕 신사 (구다라오 진자) Kudaraji Temple Ruins Kudaraoh Shrine 百済王神社 (くだらおうじんじゃ) |
| 🏛️ 유형 | 역사/문화 > 종교시설(사찰/절, 교회, 성당, 향교 등) |
| 🗓️ 지정/건립/개장 | 나라 시대 창건 추정 (본전 1827년 이축) |
| 🔗 웹사이트 | https://kudaraojinja.jp |
| 🗺️ 소재지 | 일본 오사카부 히라카타시 나카미야니시노초 1-68 |
| 이용 정보 | |
| ⏰ 운영 시간 | 정보 없음 (일반적으로 주간 참배 가능) |
| 💰 이용 요금 | 무료 |
| ⏳ 추천 소요 시간 | 약 30분 ~ 1시간 |
| 📞 문의 | +81 72-840-2624 |
| 방문 정보 | |
| ☀️ 최적 방문 시기 | 봄 (벚꽃 시즌) |
| 🚗 주차 정보 | 신사 앞 3대, 인접한 백제사터 공원 옆 5대 주차 가능 |
| 🚇 대중교통 | 케이한 전철 카타노선 미야노사카역(宮之阪駅) 하차 후 도보 약 10분 (오르막길) |
| ♿ 접근성 정보 | 휠체어 접근: 정보 없음 (경사진 곳에 위치) 경사로/엘리베이터: 정보 없음 장애인 화장실: 정보 없음 (인접 공원에 일반 화장실 있음) 장애인 주차 구역: 정보 없음 기타 참고사항: 신사로 가는 길이 일부 오르막일 수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입장료는 얼마인가요?
운영 시간은 언제인가요?
어떻게 가나요?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공식 웹사이트가 있나요?
개요
일본 고대사와 한일 관계, 특히 백제 왕족의 역사적 발자취에 깊은 관심을 가진 역사 애호가나 학습 목적의 탐방객들이 주로 방문하여 백제 왕족을 모신 신사를 직접 보고 그 유래를 살핀다.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신사를 탐방하고 싶은 개인 여행객들도 이곳을 찾는다.
방문객들은 백제 왕족을 모신 본전에서 참배할 수 있으며, 인접한 특별사적지인 백제사 터를 둘러보며 고대 사찰의 금당, 강당, 탑의 초석 등 남아있는 유구를 통해 당시의 규모를 가늠해볼 수 있다. 잘 관리된 신사 경내와 공원을 산책하며 평화로운 시간을 보낼 수도 있다.
일부 방문객은 한국과의 직접적인 역사적 연관성이나 기대했던 만큼의 볼거리가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으며, 신사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방문할 경우 그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접근 방법
🚃 전철 이용 시
- 케이한 전철 카타노선(京阪交野線) 미야노사카역(宮之阪駅)에서 하차합니다.
- 역에서 신사까지는 도보로 약 10분 소요되며, 다소 경사진 길을 올라가야 합니다.
🚗 자가용 이용 시
- 신사 앞에 승용차 3대, 인접한 백제사 터 공원 옆에 승용차 5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주요 특징
백제 왕족을 모신 본전
/feature_0_1747289115245.jpg)
💰 무료
백제사 터 (특별사적)
/feature_1_1747289122275.jpg)
💰 무료
조용하고 정돈된 경내
/feature_2_1747289128729.jpg)
💰 무료
추천 포토 스팟
백제왕 신사 (구다라오 진자)에서 사진 촬영하기 좋은 곳들입니다.
📸 벚나무 아래 (봄 한정)
/photospot_0_1747289137352.jpg)
봄철에는 만개한 벚꽃을 배경으로 아름다운 사진을 남길 수 있다.
📸 신사 본전 앞
/photospot_1_1747289144985.jpg)
가스가타이샤에서 이축된 독특한 건축미를 자랑하는 붉은색 본전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 백제사 터 전경
/photospot_2_1747289150672.jpg)
넓게 펼쳐진 사적 공원의 고즈넉한 풍경과 함께 고대의 숨결을 사진에 담을 수 있다.
축제 및 이벤트
백제왕 신사 (구다라오 진자) 관련 주요 행사 정보입니다. (개최 여부 및 시기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백제왕 신사 (구다라오 진자) 관련 주요 행사 정보입니다. (개최 여부 및 시기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방문 팁
역사적 배경
여담
신사의 주된 제신(祭神)은 백제 국왕의 영혼과 함께 일본의 토착 신앙과 결합된 질병 퇴치의 신, 우두천왕(牛頭天王)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의 신사 본전 건물은 나라의 유명한 가스가타이샤에서 옮겨온 것으로, 이를 '가스가우츠시(春日移し)'라고 부른다. 이는 신사의 건물을 20년마다 새로 짓는 가스가타이샤의 '시키넨조타이(式年造替)' 전통에 따라 오래된 건물을 다른 신사에 하사하는 관례를 따른 것이다.
백제왕씨는 백제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아들 부여선광(扶餘善光)을 시조로 하는 도래인 가문으로, 일본 조정으로부터 '구다라노코니키시(百済王)'라는 특별한 셔성(姓)을 하사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신사 인근 히라카타시 오가이토초(大垣内町)에는 또 다른 작은 구다라오 신사가 있는데, 이는 과거 이 지역의 토지를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몰수당하고 이주한 백제왕씨의 후손 미츠마츠(三松)씨가 1650년경 자신의 저택 내에 세운 개인 사당에서 유래되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신사 옆 백제사 터의 가람 배치는 중문에서 회랑이 이어져 동서 탑을 둘러싸고 금당에 이르는 형태로, 이는 한국 경주의 감은사지와 유사한 양식이라는 점이 학계에서 지적되고 있다.
대중매체에서
백제왕 신사 (구다라오 진자)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백제왕 신사 (구다라오 진자)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