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료고쿠 국기관 (양국 국기관)
일본 스모의 성지이자 다양한 이벤트가 열리는 도쿄의 대표적인 실내 경기장
🖼️ 이미지 갤러리
/banner_1747401350210.jpg)
/feature_0_1747542924034.jpg)
/feature_1_1747542935199.jpg)
/feature_2_1747542943898.jpg)
/photospot_0_1747542956090.jpg)
/photospot_1_1747543234552.jpg)
/photospot_2_1747543249608.jpg)
/festival_0_1747543258283.jpg)
/festival_1_1747543267871.jpg)
/festival_2_1747543274130.jpg)
/festival_3_1747543307548.jpg)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료고쿠 국기관 (양국 국기관) Ryōgoku Kokugikan 両国国技館 |
| 🏛️ 유형 | 레저/엔터테인먼트 > 스포츠 시설 |
| 🗓️ 건립 | 1985년 1월 (현재 건물 기준) |
| 🔗 웹사이트 | https://kokugikan.sumo.or.jp/ |
| 🗺️ 소재지 | 일본 도쿄도 스미다구 요코아미 1초메 3-28 |
| 이용 정보 | |
| ⏰ 운영 시간 | 스모 대회 기간: 보통 오전 8시 30분 ~ 오후 6시 (주요 경기는 오후 2시 이후). 스모 박물관: 대회 중 매일(티켓 소지자만), 그 외 토, 일요일 10:00~16:30 (공휴일 휴관). 이벤트에 따라 변동. |
| 💰 이용 요금 | 스모 대회: 좌석 등급에 따라 다름 (예: 2층 의자석 약 ¥3,600 ~ ¥8,400, 1층 박스석 약 ¥9,200 ~ ¥11,300, 당일권 약 ¥2,100). 기타 이벤트는 별도 요금. 스모 박물관: 무료 (대회 기간 외). |
| ⏳ 추천 소요 시간 | 스모 대회 관람 시: 주요 경기 관람 기준 약 3~4시간, 전체 관람 시 반나절 이상. 기타 이벤트는 해당 행사 시간에 따름. |
| 📞 문의 | +81 3-3623-5111 |
| 방문 정보 | |
| ☀️ 최적 방문 시기 | 스모 정규 바쇼(대회)가 열리는 1월, 5월, 9월. 또는 관심 있는 프로레슬링, 복싱, 콘서트 등 이벤트 개최 시기. |
| 🚗 주차 정보 | 정보 없음 |
| 🚇 대중교통 | JR 소부선(각역정차) 또는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료고쿠역 하차 후 도보 약 1~2분. 다양한 버스 노선 운행. |
| ♿ 접근성 정보 | 휠체어 접근: 정보 없음 경사로/엘리베이터: 정보 없음 장애인 화장실: 정보 없음 장애인 주차 구역: 정보 없음 기타 참고사항: 현대적인 대형 시설이나, 구체적인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 없음. |
❓자주 묻는 질문
입장료는 얼마인가요?
운영 시간은 언제인가요?
어떻게 가나요?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공식 웹사이트가 있나요?
개요
일본 전통 국기인 스모 경기를 직접 관람하거나 프로레슬링, 복싱, 콘서트 등 대형 이벤트를 생생하게 경험하고 싶은 스포츠 팬 및 공연 애호가들이 주로 방문한다. 특히 스모 팬에게는 성지와 같은 상징적인 장소로 여겨진다.
방문객들은 박진감 넘치는 스모 경기를 관람하며 독특한 응원 문화를 체험할 수 있고,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스포츠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경기장 내 스모 박물관에서 스모의 역사와 관련된 유물을 살펴볼 수도 있다.
1층의 다다미식 좌석(마스세키)은 장시간 앉아있기에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으며, 인기 있는 스모 경기나 이벤트 시에는 경기장 내 식음료 코너에 줄이 길게 늘어설 수 있다.
접근 방법
🚇 지하철
- JR 소부선(각역정차) 료고쿠역 서쪽 출구에서 도보 약 2분.
-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료고쿠역 A3, A4 출구에서 도보 약 1분.
🚌 버스
- 도에이 버스 錦27 계통 (코이와역 ~ 료고쿠역), 両28 계통 (카사이바시 ~ 료고쿠역) '료고쿠역' 정류장 하차.
- 도에이 버스 門33 계통 (카메이도역 ~ 도쿄 스카이트리역 입구 ~ 도에이 료고쿠역 ~ 몬젠나카초 ~ 토요미 수산부두) '도에이 료고쿠역' 정류장 하차 후 도보 약 5분.
주요 특징
스모 경기 관람
/feature_0_1747542924034.jpg)
💰 좌석에 따라 다름 (예: 약 ¥2,100부터)
다양한 이벤트 개최
/feature_1_1747542935199.jpg)
💰 이벤트에 따라 다름
스모 박물관
/feature_2_1747542943898.jpg)
💰 무료 (대회 기간 외)
추천 포토 스팟
료고쿠 국기관에서 사진 촬영하기 좋은 곳들입니다.
📸 경기장 정문 및 외부 전경
/photospot_0_1747542956090.jpg)
독특한 녹색 지붕과 함께 국기관의 전체적인 모습을 담을 수 있다. 스모 대회 기간에는 선수들의 이름이 적힌 화려한 깃발(노보리)이 세워져 좋은 배경이 된다.
📸 경기장 내부 도효 (경기 중)
/photospot_1_1747543234552.jpg)
스모 경기의 중심인 도효와 선수들의 역동적인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관중석의 분위기와 함께 담으면 더욱 생생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 스모 박물관 내부 전시물
/photospot_2_1747543249608.jpg)
역대 요코즈나의 사진, 게쇼마와시 등 스모 관련 유물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남길 수 있다.
주요 행사 및 대회
료고쿠 국기관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주요 대회 및 연례 행사 정보입니다.
오오즈모 정규 바쇼 (대스모 대회)
일본 스모 협회가 주최하는 가장 권위 있는 스모 대회로, 1년에 세 차례 이곳에서 열린다. 하위 리그부터 최상위 리그(마쿠우치)까지 다양한 선수들의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 매년 1월, 5월, 9월 (각 15일간)
신일본 프로레슬링 G1 CLIMAX 결승전 (일부 연도)
일본 최대 프로레슬링 단체인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여름철 최대 리그 G1 CLIMAX의 결승전이 개최되는 경우가 있다. (2014, 2018, 2019년 제외)
📅 매년 8월경 (개최 연도 및 일정 변동 가능)
아이디어 대결 전국 고등전문학교 로봇 콘테스트 전국대회
일본 고등전문학교 학생들이 제작한 로봇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겨루는 전국 대회. '고교생의 갑자원'으로 불릴 만큼 열띤 경쟁을 벌인다.
📅 매년 11월
국기관 5000명의 제9 콘서트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을 5000명이 함께 부르는 대규모 콘서트.
📅 매년 2월
방문 팁
역사적 배경
여담
국기관이라는 명칭은 개관 직전, 스모를 좋아하는 작가 에미 스이인이 작성한 축사 초고의 '스모는 일본의 국기(國技)이다'라는 문구에서 영감을 얻은 오구루마 오야카타(전 오제키 오오토히라)의 제안으로 결정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경기장 지하에는 야키토리(닭꼬치) 공장이 있는데, 닭이 두 발로 서서 땅에 손을 짚지 않는 모습이 스모에서 길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곳에서 만든 야키토리는 경기장 기념품으로 인기가 있으며, 일부 JR 역에서도 판매된다.
경기장 중앙에 매달린 거대한 지붕(츠리야네)은 이세 신궁의 신목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무게는 조명 장비를 포함하여 약 6.25톤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지붕과 스모 경기장 바닥(도효)은 승강식으로 되어 있어, 스모 경기 외의 이벤트 시에는 천장 가까이 올리거나 지하로 내릴 수 있다.
2015년 전광판이 30년 만에 새롭게 단장되었는데, LED 조명으로 바뀌고 스모의 기술인 '키마리테' 표시가 기존 모노크롬 액정에서 LCD 화면으로 변경되었다. 이때 표시되는 글자체도 명조체에서 스모 특유의 두꺼운 글씨체인 '스모지'로 바뀌었고, 표시 가능한 키마리테 종류도 92가지로 늘어났다.
스모 경기 중계 시, 국기관 FM 방송을 통해 NHK의 일본어 중계(76.6MHz)와 영어 중계(78.3MHz)를 재송신한다. 과거에는 '도스코이 FM'이라는 자체 방송도 있었으나 현재는 종료되었다.
원칙적으로 스모 선수(리키시)는 경기장 내 엘리베이터 이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옆에는 이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고 한다.
스모의 전통에 따라 여성은 도효(씨름판)에 오를 수 없다는 '여인금제' 관습이 있었으나, 시대가 변하면서 단발식 등 일부 행사에서 여성이 참여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다만, 도효 위에 직접 오르는 것은 여전히 민감한 문제로 여겨진다.
국기관 정문 왼쪽 '이나리몬'으로 들어가면 두 개의 신사가 모셔져 있다. 오른쪽 '출세 이나리 다이묘진'은 선수들의 출세를 기원하며 스모 협회가, 왼쪽 '도요쿠니 이나리 다이묘진'은 상업 번창을 바라며 스모 찻집들이 모신 것이라고 전해진다.
대중매체에서
료고쿠 국기관이(가) 등장하거나 배경이 된 주요 대중문화 및 행사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스트리트 파이터 II 시리즈 전국 대회
슈퍼패미컴용 '스트리트 파이터 II'(1992),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1993),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1994)의 전국 대회가 개최되었다.
아이디어 대결 전국 고등전문학교 로봇 콘테스트 (로보콘)
고등전문학교 학생들이 제작한 로봇의 기술력을 겨루는 전국 대회의 결선 무대로 사용되고 있다.
국기관 5000명의 제9 콘서트
5000명의 시민 합창단이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을 함께 부르는 대규모 음악 행사이다.
24시간 테레비 「사랑은 지구를 구한다」
일본 니혼테레비에서 매년 여름 방송하는 자선 프로그램의 메인 행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0 도쿄 올림픽 복싱 경기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복싱 경기가 이곳에서 치러졌다.
폴 매카트니 콘서트
세계적인 뮤지션 폴 매카트니가 본인의 희망에 따라 일본 투어 추가 공연을 국기관에서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