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오보케·고보케 협곡 (오보케·고보케쿄)
요시노강이 빚어낸 2억 년의 대자연 예술품, 스릴 넘치는 급류와 고요한 계곡미의 공존
🖼️ 이미지 갤러리
/banner_1747196289324.jpg)
/feature_0_1747206338550.jpg)
/feature_1_1747206387092.jpg)
/feature_2_1747206447324.jpg)
/photospot_0_1747206515578.jpg)
/photospot_1_1747206634554.jpg)
/photospot_2_1747206714010.jpg)
/festival_0_1747206771409.jpg)
/festival_1_1747206832705.jpg)
/photospot_1_1747220172825.jpg)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오보케·고보케 협곡 (오보케·고보케쿄) Oboke and Koboke Gorges 大歩危小歩危 |
| 🏛️ 유형 | 자연/경관 > 계곡 |
| 🔗 웹사이트 | https://miyoshi-tourism.jp/spot/obokekyo-koboketyo/ |
| 🗺️ 소재지 | 일본 도쿠시마현 미요시시 야마시로초 |
| 이용 정보 | |
| ⏰ 운영 시간 | 오보케 협곡 유람선: 09:00 - 17:00 (계절 변동 가능) 래프팅 업체별 상이 |
| 💰 이용 요금 | 오보케 협곡 유람선: 성인 1,500엔, 어린이 750엔 (2024년 기준, 변동 가능) 래프팅: 약 5,500엔부터 (반나절 기준, 업체별 상이) |
| ⏳ 추천 소요 시간 | 유람선 탑승 시 약 30분, 래프팅 시 반나절~하루, 전체 관광 시 2~4시간 |
| 📞 문의 | +81 883-84-1211 (오보케 협곡 유람선) |
| 방문 정보 | |
| ☀️ 최적 방문 시기 | 봄(신록, 잉어 깃발), 여름(래프팅), 가을(단풍), 겨울(설경) |
| 🚗 주차 정보 | 미치노에키 오보케, 유람선 선착장 인근, 각 래프팅 업체 등에 주차 공간 있음 (일부 유료 가능성) |
| 🚇 대중교통 | JR 도산선 오보케역(특급 정차) 또는 고보케역(보통 열차만 정차) 하차. 역에서 주요 지점까지 도보 또는 버스/택시 이용. 버스 배차 간격 넓음. |
| ♿ 접근성 정보 | 휠체어 접근: 유람선 선착장까지 계단 및 경사로가 있어 어려움. 일부 전망대 및 휴게소는 접근 가능할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제한적. 경사로/엘리베이터: 주요 관광시설에 제한적 또는 없음. 장애인 화장실: 미치노에키 오보케 등 일부 시설에 있을 수 있음. 장애인 주차 구역: 주요 휴게소에 있을 수 있음. 기타 참고사항: 대부분 자연 지형으로 보도 없는 도로변 이동 시 주의 필요. |
❓자주 묻는 질문
입장료는 얼마인가요?
운영 시간은 언제인가요?
어떻게 가나요?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공식 웹사이트가 있나요?
개요
에메랄드 빛 강물과 수직 절벽이 어우러진 극적인 협곡의 풍경을 감상하거나, 세계적 수준의 급류 래프팅을 즐기려는 모험을 즐기는 여행객 및 자연 애호가들이 주로 찾는다.
관광 유람선을 타고 계곡의 아름다움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JR 도산선 열차를 이용하거나 국도를 따라 드라이브하며 변화무쌍한 경치를 경험할 수도 있다. 일부 구간에서는 요괴와 관련된 독특한 문화 콘텐츠도 접할 수 있다.
차량으로 모든 지점에 직접 접근하기는 어려워 일부 구간은 유람선 탑승이 권장되며, 대중교통 이용 시에는 도보 이동 거리가 길거나 배차 간격이 넓어 불편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된다.
기본 정보
지리적 특징
주요 시설 및 서비스
접근 방법
🚗 자가용 이용
- 국도 32호선이 협곡을 따라 이어져 있어 드라이브하며 경치를 감상하기에 좋다.
- 오사카, 고베, 도쿠시마 방면에서는 고속도로 이용 후 이케다 IC에서 나와 국도 32호선으로 진입한다.
- 고치 방면에서는 국도 32호선을 이용하거나, 고속도로 오토요 IC에서 나와 국도 32호선으로 진입한다.
일부 명소는 주차 공간이 협소할 수 있으며, 관광 시즌에는 도로 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 차량 렌트는 이케다역이나 미나미 근처에서 가능하다.
🚆 JR 열차 이용
- JR 도산선(土讃線) 오보케역(大歩危駅) 또는 고보케역(小歩危駅)에서 하차한다.
- 오보케역에는 특급 열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열차가 정차하며, 택시 이용이 가능하다.
- 고보케역은 보통 열차만 정차한다.
열차에서도 협곡의 경치를 일부 감상할 수 있으나, 터널 구간이 많다. 오보케역에서 이야 계곡 등 주변 관광지로 이동하는 버스가 있으나 운행 횟수가 적다.
🚌 버스 이용
- 아와이케다 버스터미널에서 고보케, 오보케를 거쳐 이야 계곡으로 향하는 버스가 운행된다.
- 버스 운행 횟수가 매우 적으므로 사전에 시간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특히 2018년 이후 많은 노선과 시간표가 변경되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코쿠 코츠(Yonkoh) 버스와 미요시 시영 버스가 있으며, 연계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주요 특징
오보케 협곡 유람선 (Pleasure Boat Cruise)
/feature_0_1747206338550.jpg)
💰 성인 1,500엔
급류 래프팅 (White-water Rafting)
/feature_1_1747206387092.jpg)
💰 반나절 약 5,500엔부터
요괴 문화 탐방 (Youkai Culture Exploration)
/feature_2_1747206447324.jpg)
💰 요괴 박물관 유료
추천 포토 스팟
오보케·고보케 협곡에서 아름다운 사진을 남길 수 있는 주요 지점들입니다.
📸 유람선 선상
/photospot_0_1747206515578.jpg)
에메랄드 빛 강물과 양쪽으로 솟아오른 기암괴석, 협곡의 웅장함을 가장 가까이서 다양한 각도로 담을 수 있다.
📸 JR 오보케역 인근 다리 위
/photospot_1_1747220172825.jpg)
협곡과 함께 그 위를 지나는 알록달록한 JR 열차(때로는 안판만 열차)를 한 프레임에 담을 수 있는 특별한 조망점이다.
📸 미치노에키 오보케 전망 테라스
/photospot_2_1747206714010.jpg)
휴게소에 마련된 전망 테라스에서 협곡의 탁 트인 전경을 편안하게 배경으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축제 및 이벤트
오보케·고보케 협곡 지역에서 열리는 주요 축제 및 이벤트 정보입니다.
요괴 축제 (妖怪祭り - Youkai Matsuri)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요괴들을 테마로 한 축제로, 요괴 코스튬 퍼레이드, 각종 공연 및 체험 행사, 먹거리 장터 등이 열린다. 아이들과 요괴 문화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인기가 높다.
📅 매년 11월
오보케 협곡 잉어 깃발 (大歩危峡 鯉のぼり)
봄철이 되면 오보케 협곡 사이에 수많은 잉어 깃발(코이노보리)을 내걸어 장관을 이룬다. 에메랄드 빛 강물과 푸른 하늘 사이를 헤엄치는 듯한 형형색색의 잉어 깃발은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한다.
📅 매년 봄 (주로 4월~5월)
방문 팁
역사적 배경
여담
오보케·고보케 지역은 일본 민속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요괴(妖怪)들의 주요 발상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 내에서도 요괴가 가장 많이 집중된 곳으로 요괴의 성지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오보케 협곡의 독특한 암석은 사암이 변성 작용을 거쳐 형성된 사질편암으로, 표면은 풍화되어 담청회색을 띠지만, 암석 내부나 신선한 단면은 선명한 녹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고 전해진다.
유람선 운행 중 운이 좋으면 협곡 주변에서 야생 원숭이나 사슴 등 야생동물을 목격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다.
도쿠시마현은 일본 47개 도도부현 중 유일하게 전철화된 철도 구간이 없는 현으로, 오보케역과 고보케역을 지나는 JR 도산선 역시 디젤 기관차나 디젤 동차가 운행된다.
봄철에는 협곡 사이에 수많은 잉어 깃발(코이노보리)이 내걸리는데, 이는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일본의 전통 풍습이다.
대중매체에서
오보케·고보케 협곡이(가) 등장한 주요 대중매체 정보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후기는 제외)
안판만 열차 (Anpanman Train / アンパンマン列車)
JR 시코쿠에서 운행하는 인기 캐릭터 '호빵맨(안판만)' 테마 열차가 오보케·고보케 협곡을 지나는 JR 도산선 일부 구간에서 운행된다. 열차 외부뿐 아니라 내부 좌석 등도 캐릭터 이미지로 꾸며져 있어 어린이 동반 가족 여행객에게 인기가 높으며, 협곡을 배경으로 달리는 모습이 종종 포착된다.